목록- (91)
Study Memory Work
shell에서 text 작성 중 잠깐 다른 작업을 위해 나가고 싶을 때, 진행중인 text파일을 백그라운드로 이동하기. : ctrl+Z & nano test.html // 작성 중 ctrl+Z 통해 빠져나오면 아래와같이 출력된다. Use "fg" to return to nano. [1]+ Stopped nano test.html // nano test.html 작업이 백그라운드로 이동됨. 백그라운드에 있는 작업 리스트 보기 : jobs & jobs [1]- Stopped nano test.html [2]+ Stopped vim 백그라운드에 있는 작업 중 하나로 돌아가기(포그라운드로 이동시키기) & fg %1 // 작업 번호로 이동 & fg - // 작업 고유 표식으로 이동 백그라운드 작업 삭제하기 & k..

실행중인 프로세스 리스트 ps // 실행중인 프로세스 ps aux // 백그라운드를 포함한 실행중인 모든 프로세스 ps aux | grep 검색어 // 검색어에 해당하는 프로세스만 추출 실행중인 프로세스 종료 sudo kill {PID넘버} // ProcessID로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. 실행중인 프로세스 실시간 상태 보기 sudo top sudo htop - 총 4개의 CPU(코어)를 가지고 있고, 해당 CPU들이 사용되고 있는 현황이 %로 표현되고 있다. (좌측상단) - Load Average : 프로세스 부하(점유율) 평균. 1분간 / 5분간 / 15분간의 CPU점유율을 평균낸 것. (우측상단)

Linux 디렉토리 구조 /bin :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명령들. binary의 줄임말 /sbin : 시스템 binaries. 시스템 관리자(root user)들이 사용하는 프로그램들 위치. /etc : Configuration(설정)관련 파일들 위치. 운영체제에 대한 혹은 설치한 프로그램들에 대한 설정 파일들. /var (Variable Files : 변할 수 있는 파일들) : 내용이 바뀔 수 있는 특성을 가진 파일들. ex. log파일 /tmp : 임시 파일들이 저장되는 곳 /home : 사용자들의 디렉토리. 사용자의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: cd ~ => 홈디렉토리로 바로 갈 수 있음 /lib : 라이브러리 파일들 /opt :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때 설치경로로 사용할 수 있는 곳 /usr..

Shell / Kernel Hardware 메모리, 하드디스크, SSD, CPU ... Kernel - 알맹이. - 하드웨어를 감싸고 있는 형태. - 하드웨어(물리적 기계)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운영체제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코어. Shell - 껍데기. - 커널을 감싸고 있는 형태. - 사용자 명령어 해석기. - 사용자에게 명령을 입력받으면 Kernel이 알아볼 수 있도록 해석하여 Kernel에게 전달. Shell Script 출처 입력 : Shell에서 명령어가 실행되는 방법과 순서를 저장해둔 것. 예) bakup파일 #!/bin/zsh // 어떤 shell 위에서 동작할 것인지 기술 if ! [ -d bak ]l then // bak directory가 없으면 생성하기 mkdir bak fi cp ..

Standard Input : 표준입력 방식 cat list.txt // Standard Output 결과를 text파일로 추출 ls -l 1> list.txt // Standard Output 결과를 text파일로 추출 ls -l 2> error.log // Standard Error 결과를 log파일로..
디렉토리 관련 기초 명령어 pwd //현재 디렉토리 ls //현재 디렉토리 내 파일/디렉토리 이름 추출 ls -l // 현재 디렉토리 내 파일/디렉토리 세부 정보 ls -a // 현재 디렉토리의 숨겨진 파일까지 모두 추출 ls -alS // 옵션을 여러개 사용할 수 있음. 디렉토리 내 모든 파일의 자세한 정보를 정렬하여 추출 mkdir // 디렉토리 생성 cd // 폴더 이동 cd /users/ㅇㅇㅇ // '/'root디렉토리부터 시작하는 절대경로로 이동하는 방법 cd .. // 현재 디렉토리의 이전 디렉토리에서 시작하는 상대경로로 이동하는 방법 rm 파일명 // 파일삭제 rm -r 폴더명 // 디렉토리 삭제 ls --help rm --help ... 명령어 --help // 해당 명령어에 대한 도움말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