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Infra/Kubernetes (25)
Study Memory Work
Application Log 모니터링 • 지정한 Pod 내의 특정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 로그 확인 kubectl logs PODNAME -c CONTAINER_NAME kubectl run web --image=nginx kubectl get pods kubectl describe pod web Kubectl logs web Monitor 클러스터 리소스 모니터링 # Pod가 사용하는 CPU나 Memory 리소스 정보 보기 $ kubectl top pods --sort-by=cpu# --sort-by : 정렬 # Node가 사용하는 CPU나 Memory 리소스 정보 보기 $ kubectl top nodes --sort-by=cpu # Json 포맷을 기준으로 특정 리소스 sort 해서 보기 $ kubec..

PV(Persistent Volume) 만들기 미리 물리적으로 준비되어있는 starage를 kube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등록하는 것! Persistent Volumes This document describes persistent volumes in Kubernetes. Familiarity with volumes is suggested. Introduction Managing storage is a distinct problem from managing compute instances. The PersistentVolume subsystem provides an API for users and administrator kubernetes.io # pv.yaml apiVersion: v1 kind..

Kubernetes Volume 운영환경 분리 On-promise 환경에서의 Kubernetes는 기본 스토리지 운영환경을 분리해서 사용하게 된다. 스토리지 관리자 : 스토리지를 구성한다. -> PersistentVolumes 스토리지 관리자는 다양한 형태의 stoeage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. ( 종류, 용량, 옵션 등등) 애플리케이션 운영자(개발자) : 필요한 disk의 스펙만큼의 볼륨을 요청하여 사용 -> PersistentVolumeClaims 애플리케이션 운영자가 볼륨을 요청하면 요청한 스팩에 맞는(혹은 가장 적합한) 스토리지를 할당받게 된다. 스토리지를 할당받으면 (PersistentVolumeClaim) 해당 볼륨을 Pod에 mount하여 사용할 수 있다. Dynamic Pro..

Kubernetes Volume Kubernetes Storage 의 추상화 개념. Pod에 바인딩 되는 볼륨을 마운트 하고 마치 로컬 파일 시스템에 있는 것처럼 접근이 가능하다. Kubernetes Storage # storage 선언 volumes : - name: html hostPath: path: /hostdir_or_file Mount # Volume Mount 선언 volumeMounts: - name: html mountPath: /webdata Volume Type emptyDir, HostPath, gitRepo, nfs, gcePersistentDisk, awsElastic-BlockStore, azureDisk, cinder, cephfs, iscsi, flocker, configM..

Network Policy Kubernetes가 지원하는 Pod 통신 접근제한. 일종의 방화벽으로 Pod로 트래픽이 들어오고(Inbound), 나가는(Outbound)것을 설정하는 정책 Ingress트래픽 : In bound 정책. 들어오는 트래픽을 허용할 것인지를 정의 Egress트래픽 : Out bound 정책. 트래픽이 나갈 수 있는 허용 범위 정의 트래픽컨트롤정의 ipBlock : CIDR IP 대역으로, 특정 IP 대역에서만 트래픽이 들어오도록 지정할 수 있다. podSelector : label을 이용하여, 특정 label을 가지고 있는 Pod들에서 들어오는 트래픽만 받을 수 있다. 예를 들어 DB Pod의 경우에는 API server로 부터 들어오는 트래픽만 받는 것과 같은 정책 정의가 가능..

Podnetwork : CNI(Container Network Interface plugin)에서 관리하는 pod 간 통신에 사용되는 클러스터 전체 네트워크 ServiceNetwork Service discovery를 위해 kube-proxy 가 관리하는 Cluster-wide 범위의 Virtual IP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서비스 중인 pod들이 균등하게 서비스될 수 있도록 loadbalancer 역할을 하는 것. service를 생성하면 단일진입점인 clusterIP(LB IP)가 할당된다. clusterIP를 통해 접속하면 iptables Rule에 의해 연결된 서비스 중 한 곳으로 연결된다. LB IP(Cluster IP)를 생성하여 Loadbalancer운영을 해주는 것이 바로 Service! ..